반응형

개인 학습장/AUTOCAD(Gstarcad2021) 16

캐드 자격증 준비 5 - 투상법의 이해

투상법은 투상도법(Projection)이라고도 하며, 물체로 부터 떨어져 있는 광원에 의해 물체의 상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물체의 모양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투시투상도와 평행 투상도가 있다. 여기에서 투상도는 바라보는 시선의 방향에 따라 여섯종류가 있다.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배면도, 저면도 여기서 이 투상도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1각법과 3각법이 사용되어지는데, 현재는 주로 3각법이 많이 사용되어진다. 여기서 1각법 과 3각법을 구분하는 기준을 알아보면, 투상물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투상물체가 먼저 보이느냐, 투상면이 먼저 보이느냐의 차이로 볼수있다. 즉, 눈 -> 물체 -> 투상면의 순서 정투상한 각법을 1각법이라하며, 눈 -> 투상면 -> 물체의 순서로 정투상한 각법을 3각법이라한다. 여..

캐드 자격증 준비 4 - 척도와 선의 종류 및 용도

1. 척도는 사용목적에 따라서 현척, 축척, 배척, NS(None Scale)로 분류함. 척도의 표기법은 도면에서의 길이 : 대상물의 실제 길이의 순서로 표기함. 1. 현척 : 도형을 실물과 같은 크기로 그리는 척도이며, 1:1로 표기됨. 2. 축척 : 도형을 실물보다 작게 그리는 척도로 1:2로 표기됨. (일반적인 축척값 1:2, 1:5, 1:10, 1:20, 1:50, 1:100, 1:200) 3. 배척 : 도형을 실물보다 크게 그리는 척도로 2:1로 표기됨. (일반적인 배척값 2:1, 5:1, 10:1, 20:1, 50:1) 4. NS : None Scale 또는 Not To scale(NTS)로 표기되며, 도면작성시 척도가 방해되거나 척도사용을 하지 않아도 도형의 형상을 이해하는 부분에 방해가 되..

캐드 자격증 준비 3 - 도면의 분류

도면에는 사용 목적 과 내용에 따른 분류로 도면의 내용을 분리할수 있습니다. A.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시방서 ----> 제작자 -----> 주문자의 흐름에 따른 순번 정리 1. 주문도 - 주문자의 요구 사항의 제품의 모양, 정밀도, 기능등의 개요를 주문받은 자에게 제시하는 도면 2. 계획도 - 시방서에 기초한 주문 제품을 설계자가 만들고자하는 컨셉에 대한 계획을 설명한 도면 3. 견적도 - 주문자에게 제품이나 기계의 부품구성, 작업방식, 기능등의 내용과 금액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4. 승인도 - 설계자가 주문자에게 주문,계획,견적의 단계에서 협의된 모든 내용을 실제 제작하기 앞서, 주문자에게 검토 승인을 받기 위한 최종 단계의 도면 5. 제작도 - 승인도를 거쳐 제작되는 제품을 설계자가 작업자에게 정..

캐드 자격증 준비 2 - 도면의 크기 및 양식

이 도면의 크기및 양식에 대한 부분이 이전 ks규격열람에 명시되어 있었습니다. (ks A 0106) 하지만 현재는 이 표준번호는 폐지되었다고 합니다. 폐지사유는 국제 표준규격 iso 규격과 일치 되는 사항으로 대체된 표준 기호는 KSBISO5457로 표준 번호를 지정하였습니다. 이것의 주된 내용은 도면을 출력하기위한 용지의 크기와 종류, 그리고 도면에 기입되는 양식에 대한 표준 규격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도면의 크기와 호칭 방법 치수 도면의 양식 도면의 양식에는 표제란(도면 번호, 도명,업체(단체)명,설계자(관리자), 관리자의 서명, 도면작성일, 척도, 중심마크,

캐드 자격증 준비 1 - 제도 규격 및 도면의 정의 KS 분류

제도의 규격은 세계 각국의 국가별 제도규격으로 제정되어 있으며, 점차 국제 표준화 기구(iso) 규격으로 통일되고있는 추세입니다. 여기서 제도(도면)의 정의를 추려본다면, 설계자의 의사를 말이 아닌 선, 문자, 그림, 기호,문자등을 사용하여, 제도 규격에 맞추어 간단 명료하게 작성하여, 제3자에게 전달하는 일종의 "의사 전달" 방법을 말합니다. 여기서 우리가 따라야할 제도 규격에는 한국산업 규격(Korean industrial standards: 한국공업표준 - 이하 "KS")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도면 작성시 설계자가 염두해 두어 도면에 반영할 내용에는 언제, 어디서, 누가 그 도면을 작도했는지를 정확히 명시해야하며, 무엇을 어떠한 방법으로 작업 하는지를 설명해야 합니다. 언제 - 도면작성 일자 어디서..

AUTOCAD 클래식 화면 변환법.

예전 캐드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지 오랜기간이라, 요즘과 같은 신버전의 캐드는 잘 다루기가 힘드신 분들도 있습니다. 저또한 구버전 CAD2013이전 버전이 손에 익어 새로운 회사를 가게되면 으레 캐드가 구버전인지 먼저 찾아보게 되더군요. 그러다가 신버전을 구버전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변경하는 법이 인터넷에 있어, 잊어버리지 않도록 정리및 공유해봅니다. 사용법은 캐드 실행후 메뉴 목록에서 도구(TOOLS) > 사용자화(CUSTOMIZED) > 사용자화 가져오기(CUSTOMIZE INPUT) 메뉴를 따라가면 창이 하나 나옵니다 그곳에서 분활된 화면 우측의 저장 버튼 옆에 열기를 누른후 아래 첨부파일을 선택 > 열기를 하시면, 바로 아래쪽 창 작업공간 (WORKSPACE) 메뉴에 방금 선택 > 열기한 첨부파일명이..

치수 기입 및 DIMENSION 도면층 관리 그리고 치수 스타일 관리. - 치수 기입의 여러가지 방법.

치수 넣는 규칙에 이런 규칙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서로 연관된 치수를 같은 선상에 배치해주면, 작업자가 해당 위치를 좀더 쉽게 알아볼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그림을 보면, 같은크기의 홀, 같은크기의 탭, 같은크기의 자리파기등 연관된 치수를 같은 선상에 뽑아주었습니다. 연속된 홀이 있다면 다음으로 연관된 홀의 위치를 그 치수선을 따라서 찾으면 쉽게 찾을수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보면, 치수선들을 가만 보면 들쭉 날쭉 조금 이상하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일전에 설명드렸듯이 큰 치수의 선은 작은치수를 덮는 형태가 보기 좋다 라고 했습니다. 그럼 다시 배치를 해보면, 좀더 치수가 눈에 잘 들어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도면을 만약 a4 또는 a3 여타 도면 폼에 넣어야 한다면, 어떤식으로 배치..

치수 기입 및 DIMENSION 도면층 관리 그리고 치수 스타일 관리. - 치수 기입 요령.

이전 까지는 치수 스타일과 치수 스타일 관리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직접 치수를 기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치수를 기입하기에 앞서 중심선의 중요성도 알려드리겠습니다. 만약 아래의 그림을 봐주시기 바랍니다. 1. 2. 위의 1번과 2번의 그림은 같은그림인데 차이점이 있습니다. 바로 전체를 놓고 봤을때 중심선이 표시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이 중심선이 있고 없고에 따라 도면 해석에 큰 도움이 될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무슨 말이냐 하면, 중심 표식이 있으므로, 유추할수 있는 몇가지가 있는데 그중하나가 바로, 대칭이라는 암묵적인 의미를 내포 합니다. 즉, 중심선 기준으로 어느한쪽의 치수만 표기되어도 반대쪽의 치수를 유추 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좌우 대칭이 아닌데, 중심표식을 했다 ..

치수 기입 및 DIMENSION 도면층 관리 그리고 치수 스타일 관리. - 치수 스타일 관리

일전에 치수를 작성할때는 dim이란 도면층을 사용한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이 도면층은 색상도,선굵기도 지정해 주지 않은 이유를 3개의 부위로 나뉘어 있다고 했습니다. 이 부분을 보면, 저같은경우, 치수선은 외형선보다 짙은색이나 굵기가 아니며, 치수보조선은 치수선보다 옅은색이며,얇은 선굵기를 가집니다. 이유는 선의 구분이 잘되어 잘 보여 지게 하기 위함입니다. 이화면은 dim도면층으로 그냥 치수를 뽑은것입니다. 외형선과 같은색으로 알아볼수는 있지만, 먼가 불편합니다. 이제 이 치수선들과 문자에 스타일을 주겠습니다. 여기서 사용할 명령어는 d(dimstyle)입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왼쪽에 스타일(s)부위에는 현재 2개의 스타일이 존재합니다. iso-25 표준 스타일과 standard ..

치수 기입 및 DIMENSION 도면층 관리 그리고 치수 스타일 관리. - 공차와 끼워맞춤

도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무었일까요? 도형일까요? 물론 도형만 가지고도 제품을 만들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설계한 본연의 기능을 충족시키고자한다면, 각 부품의 연관성을 유연하게 해주어야하는데요. 이게 바로 치수 나 약속된 기호로 표현 할수 있습니다. 치수에는 해당 공차들의 부대낌 정도 또는 표면 마찰의 정도 등을 정해주는 끼워맞춤 공차와 표면 거칠기 공차등이 있습니다. 또한 약속된 기호에는 특정 마찰 부위와 그에 상호 작용되는 마찰 부위와의 기하학 공차, 해당부위의 체결 방식, 특정 부위의 강도 처리방법등 많은 정보가 포함될 것입니다. KS에서 규격하는 끼워맞춤의 공차표는 2가지로 나뉩니다. 모든 상응하는 끼워맞춤이 발생되는 곳은 원통형태의 구동관련 공차라 정의하면, 그 원통은 각각 축과 구멍 2가..

반응형